소싸움 폐지를 위해 서명해 주세요!

소싸움 없는 세상을 위해 함께해요

서명 내용 보기오른쪽 화살표
지금 서명하기
오늘날의 소싸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제도화된
‘폭력’입니다.

소싸움은 과거 농경사회에서 마을 공동체 간에 벌어졌던 민속놀이였습니다. 당시에는 소를 농사에 이용하던 시대였고, 소싸움의 승패가 마을의 명예와 직결될 만큼 공동체적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러다 오늘날의 소싸움은 이러한 공동체 기반이 사라지고, 상업적 경기로 변질되었습니다.

1971년 진주에서 전국 규모의 소싸움대회가 처음 개최된 이후, 소싸움은 점차 여러 지역으로 확산했습니다. 특히 지방자치제가 본격화한 1990년대 이후, 일부 지방정부는 소싸움을 ‘문화관광 자원’이자 ‘지역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삼으며 산업화되었습니다. 청도군은 상설 경기장을 세우고 전국 최초의 합법적 베팅 시스템까지 도입하면서 소싸움의 중심지로 떠올랐고, 동물학대와 사행성 조장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현행 「동물보호법」 제10조는 도박·오락·유흥을 목적으로 동물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를 동물학대로 규정하여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싸움은 ‘전통 민속놀이’라는 이유로 동물학대 규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은 2023년 5월부터 시민사회단체들과 연대해 소싸움에 대한 예산 삭감과 폐지를 촉구해 왔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현재도 소싸움 유지를 위해 수천만 원에서 수십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물해방물결은 소싸움의 폭력적 실태를 세상에 알리고자,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4개월간 청도 상설경기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의 민속 소싸움대회를 직접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싸움소들이 처한 폭력적인 환경은 물론, 불법 도박 의심 정황과 아동·청소년에게 생명 경시 태도를 학습시킬 수 있는 교육적 문제까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의 소싸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제도화된 ‘폭력’입니다.

소싸움은 과거 농경사회에서 마을 공동체 간에 벌어졌던 민속놀이였습니다. 당시에는 소를 농사에 이용하던 시대였고, 소싸움의 승패가 마을의 명예와 직결될 만큼 공동체적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러다 오늘날의 소싸움은 이러한 공동체 기반이 사라지고, 상업적 경기로 변질되었습니다.

1971년 진주에서 전국 규모의 소싸움대회가 처음 개최된 이후, 소싸움은 점차 여러 지역으로 확산했습니다. 특히 지방자치제가 본격화한 1990년대 이후, 일부 지방정부는 소싸움을 ‘문화관광 자원’이자 ‘지역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삼으며 산업화되었습니다. 청도군은 상설 경기장을 세우고 전국 최초의 합법적 베팅 시스템까지 도입하면서 소싸움의 중심지로 떠올랐고, 동물학대와 사행성 조장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현행 「동물보호법」 제10조는 도박·오락·유흥을 목적으로 동물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를 동물학대로 규정하여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싸움은 ‘전통 민속놀이’라는 이유로 동물학대 규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은 2023년 5월부터 시민사회단체들과 연대해 소싸움에 대한 예산 삭감과 폐지를 촉구해 왔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현재도 소싸움 유지를 위해 수천만 원에서 수십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물해방물결은 소싸움의 폭력적 실태를 세상에 알리고자,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4개월간 청도 상설경기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의 민속 소싸움대회를 직접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싸움소들이 처한 폭력적인 환경은 물론, 불법 도박 의심 정황과 아동·청소년에게 생명 경시 태도를 학습시킬 수 있는 교육적 문제까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동물학대, 세금 낭비, 무책임이
공존하는 국내 소싸움 운영 실태
이제는 멈춰야 할 소싸움,
생명존중과 공존을 향해

이 모든 현실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정당화되고 있습니다. 세금 낭비, 사행행위 조장, 교육적 해악.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통받는 생명 앞에서, ‘전통’이라는 말은 더 이상 면죄부가 될 수 없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이 소싸움경기가 주로 열리는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 과반 이상(53.4%)이 동물의 권리와 사회적 인식을 고려해 소싸움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소싸움, 더 이상 ‘전통’이 아닙니다. 싸움을 강요당하는 소들은 채찍에 시달리고 피를 흘리며, 끊임없는 고통에 시달립니다. 우리가 지켜야 할 ‘전통’이 생명을 해치고 고통을 외면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단호히 거부해야 합니다.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문화, 동물을 희생시키지 않는 ‘지역 살림’이야말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미래입니다.

이제는 이 폭력을 멈춰야 할 때입니다. 이 거부할 수 없는 싸움에서 소들을 해방시켜 주세요. 지금, 여러분의 행동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멈춰야할 소싸움,
생명존중과 공존을 향해

이 모든 현실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정당화되고 있습니다. 세금 낭비, 사행행위 조장, 교육적 해악.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통받는 생명 앞에서, ‘전통’이라는 말은 더 이상 면죄부가 될 수 없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이 소싸움경기가 주로 열리는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시민 과반 이상(53.4%)이 동물의 권리와 사회적 인식을 고려해 소싸움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소싸움, 더 이상 ‘전통’이 아닙니다. 싸움을 강요당하는 소들은 채찍에 시달리고 피를 흘리며, 끊임없는 고통에 시달립니다. 우리가 지켜야 할 ‘전통’이 생명을 해치고 고통을 외면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단호히 거부해야 합니다.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문화, 동물을 희생시키지 않는 ‘지역 살림’이야말로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미래입니다.

이제는 이 폭력을 멈춰야 할 때입니다. 이 거부할 수 없는 싸움에서 소들을 해방시켜 주세요. 지금, 여러분의 행동이 필요합니다.

mobile background
동물은 유희와 오락의
도구가 아닙니다

모든 동물이 지각있는 생명으로 존중받는 그 날까지 동물해방물결과 함께해 주세요!

동물해방물결의
조사 캠페인을
지원해 주세요!

가려진 곳에서 착취, 학대, 살상되는 동물의 현실은 쉽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이 멈추지 않고 동물 해방을 위한 조사 활동을 개진할 수 있도록 소중한 후원으로 함께해 주세요.



후원하기


동물은 유희와 오락의
도구가 아닙니다

모든 동물이 지각있는 생명으로
존중받는 그 날까지 동물해방물결과 함께해 주세요

동물해방물결의
조사 캠페인을 지원해 주세요!

가려진 곳에서 착취, 학대, 살상되는 동물의 현실은 쉽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동물해방물결이 멈추지 않고 동물 해방을 위한 조사 활동을 개진할 수 있도록,
소중한 후원으로 함께해 주세요.

후원하기

인간의 잔인함이 얼마나 무섭고 두려운지, 소들은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 사실이 미안했고, 그 고통 위에 공공의 자원이 쓰이고 있다는 현실이 더욱 안타까웠습니다. 이제는 자유로이 해방시켜주고 싶습니다.

진선규

배우

캠페인 내용을
공유해보세요
캠페인 내용을 공유해보세요

KAKAO

TWITTER

FACEBOOK

BAND

https://donghaemul.com/
COPY

동물해방물결의 소식을
정기적으로 받아보세요

대표 :  이지연  |  전화번호 : 02-554-8835  |  이메일 : donghaemul@donghaemul.com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82 2층 (우) 04339  |  고유번호 : 810-82-00515

후원 : 신한 140 014 853799 동물해방물결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국민권익위원회 바로가기

© 2017 Donghaemul All Rights Reserved.

대표 : 이지연  |  전화번호 : 02-554-8835
이메일 : donghaemul@donghaemul.com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82 2층 (우) 04339
고유번호 : 810-82-00515
후원 : 신한 140 014 853799 동물해방물결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2017 Donghaemu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