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모아보기

보도자료 모아보기

[보도자료/성명] 동물, 환경, 여성, 법률 등 2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결성된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 '동물 비물건화' 규정 담긴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신속한 통과를 촉구하다

관리자
2023-05-30
조회수 514

2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결성된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가 국회 정문 앞에서 '동물 비물건화' 민법 일부개정안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 30일(화) 오늘 국회 정문 앞에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동물의 비물건화) 심사 및 통과 촉구를 위한 공동기자회견 개최

- 개, 돌고래, 소, 토끼, 원숭이, 어류 등 여러 종의 동물 탈 쓴 활동가들 <물건이 아닌 동물들의 선언식> 퍼포먼스 펼쳐


◯  2023. 5. 30. - ‘동물의 비물건화'를 선언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 통과 촉구를 위해 2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였다. 동물, 환경, 여성, 종교, 법률 등의 단체로 구성된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이하 ’동물아연대‘)>는 이날 국회 정문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서를 발표했다.


◯ 지난 2021년 10월 발의된 민법 개정안 제98조의2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라는 규정을 담고 있다. 이는 동물의 법적 지위를 제고하는 기본적인 조항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해당 법안은 지난 4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법안 처리를 합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에서 법안소위에 상정조차 하지 않고 있다.

국회의 무관심과는 달리 국민의 94.3%는 민법개정안에 찬성하고 있다. <동물아연대>는 "키우던 토끼를 밀폐용기에 가둬 죽인 보호자가 무죄 판결을 받고, 학대당해 상해를 입은 개를 보신탕집에 넘긴 보호자가 기소유예 처분을 받는 일들은 동물을 물건으로 보는 법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라며 "동물이 물건이 아니라는 기본 원칙만이라도 법에 규정되어야, 동물을 학대자의 손에서 구출하고, 민형사상의 정당한 죗값을 물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 모인 활동가들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피켓을 들고, '동물 비물건화'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신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 이뿐만 아니라 외국 사례들에 비추어 볼 때 해당 민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동물이 재산분할이 되는 문제, 채무변제 수단이 되는 문제의 해결에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동물아연대>는 "어느 모로 보나 동물을 물건이나 재산으로 취급하고 있는 지금의 민법은 시대착오적"이며 "국민의 절대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는 법안을 심사조차 하고 방치하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주장했다.


다양한 종의 동물 탈을 쓴 활동가들이 <물건이 아닌 동물들의 선언식> 퍼포먼스를 펼치며 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 연대 발언 이후에는 <물건이 아닌 동물들의 선언식>이 이어졌다. 개, 돌고래, 소, 토끼, 원숭이, 어류 등의 탈을 쓴 동물들은 물건으로 취급되어 받고 있는 고초와 수난을 성토했다. 개가 농장과 번식장에서, 돌고래가 수족관에서, 소가 농장에서, 원숭이가 실험실에서 당하고 있는 일들은 그저 외면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이들은 "동물을 ‘물건’이 아닌 ‘지각 있는 생명’으로 존중하라"며 이번 법 개정이 "공멸이 아닌 공생, 공존으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편, <동물아연대>는 이번 출범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국회와 국민들에게 동물이 생명체로서 온전히 존중받을 수 있도록 더 강력한 요구와 행동들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성명서]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민법일부개정법률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한다


지난 2021년 10월 1일 법무부는 민법 제98조의2를 신설하는 규정 등을 포함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는 규정이 동물의 법적 지위를 제고하는 기본조항이 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동물단체를 비롯한 많은 시민사회단체들이 환영하였고, 조속한 법안 통과를 촉구하였다. 그러나 국회는 발의 이후 1년 반이 지나도록 별다른 논의를 진행하지 않다가, 2023년 4월 4일에야 합의문을 통해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4월 임시국회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하기로 발표하였다.


그간 동물을 물건이나 소유권의 대상, 즉 재산으로 여겨왔던 현행법의 태도는 일반 국민의 상식과 법감정에 부합하지 않는 근대적 관점이다. ‘2022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를 민법에 명시하는 데 국민 94.3%가 찬성하고 있다. 동물보호법에서 동물의 특수한 법적 지위를 고려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위 국민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99%가 학대자의 동물 사육 제한에, 98%가 학대자의 피학대동물 소유권 제한에 찬성함에도 불구하고 동물학대자의 사육이나 소유권을 제한하는 것조차 불가능할 정도로, 동물보호법은 실질적으로 동물을 보호하고 동물의 법적 지위를 확인하는 법규범으로서 기능하는 데에 부족하다.


이에 위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이러한 문제에 근본적인 변화를 촉발할 수 있는 신호탄이 될 수 있으며, 국민의 인식에 부합하는 법체계를 만들어가는 근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여당과 야당의 명시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위 법안 통과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미지수이다. 국회는 여전히 동물권에 대한 의식이 높지 않으며, 우리 법제에서 동물의 정당한 법적 지위를 인정하는 것에 대해 소극적이다. 특히 소관위원회인 법제사법위원회는 다른 법률안이 위 민법 일부개정법률안보다 더 중요하고 시급하다고 여기는 듯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는 우리 법이 시급히 받아들여야 할 상식일 뿐 정쟁의 대상도, 정치공학적으로 재고 따질 문제도 아니다.


이미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주요 선진국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법제를 도입하였거나 학대행위자의 동물소유권을 제한하는 등 동물을 단순히 물건으로 보고 있지 않다. 더 나아가 프랑스, 벨기에, 스페인 등은 동물을 감응력 있는 존재로 규정하며, 동물의 이익을 고려하는 적극적인 입법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비단 동물뿐 아니라, 인간이 지구를 공유하는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관점을 시사한다.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는 사회적 공존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기 위한 최소한의 첫걸음이자 생명존중사회를 위한 기본원칙인 것이다.


만일 21대 국회 회기 내에 위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과시키지 못한다면 21대 국회의 임기만료와 함께 법안은 폐기될 것이고, 다시 이와 같은 기회가 오기까지 오랜 시간의 소요와 많은 동물들의 희생이 따를 것이다. 이에 각계 시민사회단체들이 그 어느 때보다 간절하고 절박한 심정으로 모여 요구한다. 우리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는 법제사법위원회와 국회에서 반드시 이번 회기에 민법 개정안을 통과시킬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23년 5월 30일
동물은물건이아니다연대 일동

녹색당 동물권위원회, 녹색전환연구소,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변호사들, 동물해방물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동물권소위원회, 불교환경연대, 생명다양성재단, 생명환경권행동 제주비건, 서울환경운동연합,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시셰퍼드코리아, 새벽이생추어리, 여성환경연대, 원헬스활동가연대, 이야기와 동물과 시, 제주동물권행동 나우, 청년기후긴급행동, 충남동물행복복권연구소,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동물해방물결의
최신 보도자료를 받아보세요
동물해방물결의
최신 보도자료를 받아보세요

소속 언론사 및 단체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합니다
보도자료 구독

동물해방물결의 소식을
정기적으로 받아보세요

대표 :  이지연  |  전화번호 : 02-554-8835  |  이메일 : donghaemul@donghaemul.com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82 2층 (우) 04339  |  고유번호 : 411-82-80516

후원 : 신한 100 032 648005 동물해방물결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2017 Donghaemul All Rights Reserved.

대표 : 이지연  |  전화번호 : 02-554-8835
이메일 : donghaemul@donghaemul.com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신흥로 82 2층 (우) 04339
고유번호 : 411-82-80516
후원 : 신한 100 032 648005 동물해방물결

© 2017 Donghaemul All Rights Reserved.